Life Developer
인생 개발자
분류 전체보기 (141)
제네릭 메소드?

제네릭 메소드는 뭘까?

 

제네릭 메소드는 매개변수 타입과 리턴 타입으로 타입 파라미터를 갖고 있는 메소드를 말한다.

 

 

선언방법

-리턴 타입 앞에 <> 부호를 추가하고 사이에 타입 파라미터를 기술한다.

 

-그런 다음 리턴 타입과 매개변수 타입으로 타입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된다.

 

 

아래 방법이 일반적이다.

 

<> 생략가능(주석참고)

'Develo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네릭 와일드카드 타입  (0) 2020.07.26
제네릭 제한된 타입 파라미터  (0) 2020.07.26
javascript에서 자유변수란?  (0) 2020.07.26
클로저란?  (0) 2020.07.26
서브쿼리 종류  (0) 2020.07.25
  Comments,     Trackbacks
javascript에서 자유변수란?

자유변수라는 것이 있다.

 

자유변수란 클로저를 포함하고 있는 외부 함수의 인자, 지역변수를 말한다.

 

이 자유변수는 외부함수가 종료된 후에도 사용을 할수가 있다.

 

단,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수는 없고, 항상 클로저를 통해서만 사용할수 있다.

'Develo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네릭 제한된 타입 파라미터  (0) 2020.07.26
제네릭 메소드?  (0) 2020.07.26
클로저란?  (0) 2020.07.26
서브쿼리 종류  (0) 2020.07.25
서브쿼리란?  (0) 2020.07.24
  Comments,     Trackbacks
클로저란?

내부함수가 정의될 때 외부함수의 환경을 기억하고 있는 내부함수를 말한다.

외부함수 안에서 선언된 내부함수는 그 외부함수의 지역변수나 함수에 접근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아래는 쉽게 이해할수 있는 예제이다.

 

예제에서 makeFunc함수가 곧 외부함수이고 그안의 dispalyName함수가 내부함수이다.

 

이 displayName이라는 함수는 본인이 태어난 외부함수의 변수들의 정보를 기억을 한다.

 

곧 displayName이 바로 클로저이다.

 

그래서 아래 코드의 결과값은 Mozilla가 나온다.

 

 

function makeFunc() {

            let name = "Mozilla";

 

            function displayName() {

                  alert(name);

            }

 

            return displayName;

}

 

let myFunc = makeFunc(); //myFunc변수에 displayName을 리턴함

//유효범위의 어휘적 환경을 유지 myFunc();

//리턴된 displayName 함수를 실행(name 변수에 접근)

'Develo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네릭 메소드?  (0) 2020.07.26
javascript에서 자유변수란?  (0) 2020.07.26
서브쿼리 종류  (0) 2020.07.25
서브쿼리란?  (0) 2020.07.24
인라인 뷰(inline view)란?  (0) 2020.07.24
  Comments,     Trackbacks
서브쿼리 종류

서브쿼리란 하나의 SQL 문장 내부에 존재하는 또 다른 SELECT 문장을 말한다.

 

서브쿼리에도 종류가 있다.

 

select절에 서브쿼리가 있다면 이것은 스칼라 서브쿼리다.

 

from절에 서브쿼리가 있다면 인라인뷰라고 한다.

 

where절에 서브쿼리가 있다면 이것은 그냥 서브쿼리라고 한다.

 

 

주로 인라인 뷰를 쓴다고 한다. (from에 서브쿼리를 사용하는것)

 

이것은 암기해야 한다.

'Develo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에서 자유변수란?  (0) 2020.07.26
클로저란?  (0) 2020.07.26
서브쿼리란?  (0) 2020.07.24
인라인 뷰(inline view)란?  (0) 2020.07.24
오라클 DECODE  (0) 2020.07.24
  Comments,     Trackbacks
서브쿼리란?

서브쿼리란 하나의 SQL문에 포함되어 있는 또 다른 SQL문을 말한다.

 

서브쿼리 주의사항이 있다.

 

1. 서브쿼리를 괄호로 감싸서 사용한다.

2. 서브쿼리는 단일 행 또는 복수 행 비교 연산자와 함께 사용 가능하다.

3. 서브쿼리에서는 order by 를 사용하지 못한다.

 

서브쿼리 가능한곳

1. select절

2. from절

3. where절

4. having절

5. order by절

6. insert문 안의 value절

7. update 문 안의 set절

 

서브쿼리의 종류는 다음 게시글에서.

'Develo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로저란?  (0) 2020.07.26
서브쿼리 종류  (0) 2020.07.25
인라인 뷰(inline view)란?  (0) 2020.07.24
오라클 DECODE  (0) 2020.07.24
일급함수가 무엇?  (0) 2020.07.24
  Comments,     Trackbacks
인라인 뷰(inline view)란?

인라인 뷰는 FROM 절에 사용되는 서브쿼리를 의미한다.

 

select 컬럼,~~~~              //메인쿼리

from (select 컬럼,~~~~ from~~~~)            //서브쿼리(인라인뷰)

 

인라인 뷰를 통해 테이블을 일시적으로 생성하고, 인라인 뷰에 대해서 rounum을 이용하여 쿼리문을 실행하면

 

원하는 결과도 검색가능 하다.

'Develo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쿼리 종류  (0) 2020.07.25
서브쿼리란?  (0) 2020.07.24
오라클 DECODE  (0) 2020.07.24
일급함수가 무엇?  (0) 2020.07.24
순수함수가 무엇?  (0) 2020.07.24
  Comments,     Trackbacks
오라클 DECODE

DECODE 함수는 오라클 쿼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함수 중 하나이다.

 

프로그래밍에서의 if else 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한다.

 

간단한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다.

 

DECODE(컬럼, 조건1, 결과1, 조건2, 결과2, 조건3, 결과3..........) 

 

아래처럼 조건에 맞지 않은것은 마지막에 결과3 으로 뺄수 있다.

 

조건에 안맞은 것은 모두 12로 줘봤다.

 

 

'Develo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쿼리란?  (0) 2020.07.24
인라인 뷰(inline view)란?  (0) 2020.07.24
일급함수가 무엇?  (0) 2020.07.24
순수함수가 무엇?  (0) 2020.07.24
함수형 프로그래밍  (0) 2020.07.24
  Comments,     Trackbacks
일급함수가 무엇?

순수함수에 이어 일급함수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일급함수의 정의는 함수를 값으로 다룰수 있다. 이다.

 

함수도 그냥 값이라는 것이다.

 

let f1 = function(a) { return a*b );

 

이처럼 f1 변수에 function(a) { return a*b ) 라는 함수는 넣는것이다.

 

다시말해 f1 변수에 function(a) { return a*b ) 라는 값을 넣는것이다.

 

함수도 값이 라는것을 생각하고 또 생각하면

 

function f2( f ) {

       return f();

}

 

이렇게도 쓸수있다.

 

그리고 console.log( f2(function() { return 10; }) );

 

이렇게 출력도 할수 있다.

 

console.log( f2(function() { return 10; }) );   는 곧,

 

console.log( 10 ); 이기 때문에 결과값은 10이 출력된다.

 

 

 

이처럼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앱, 함수의 구성요소, 더 아나가 언어 자체를 함수처럼 여기도록 만들고, 이러한 함수 

 

개념을 가장 우선순위에 놓는다.

'Develo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라인 뷰(inline view)란?  (0) 2020.07.24
오라클 DECODE  (0) 2020.07.24
순수함수가 무엇?  (0) 2020.07.24
함수형 프로그래밍  (0) 2020.07.24
프레임 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0) 2020.07.24
  Comments,     Trackbacks